2025/11 12

[SWSH S22 최고/최종 2016, 156위] 자시안 타입 사이클 파티

파티를 짜게 된 경위HA 기반의 자시안이 매우매우 강하다고 생각해서 자시안을 중심으로 파티를 생각했습니다.여러 자시안 파티를 사용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이 자시안을 베끼는 메타몽에 대한 대비였습니다.썬더로 대비하기에는 내가 운이 좋아야 하는 것 같아 못 미덥고, 누오로 대비하자니 상대가 너무 쉽게 기점으로 삼을 수 있어 곤란했습니다.고민을 거듭하면서 지난 시즌에 결과가 좋았던 파티 기사들을 보던 중 "자시안에 와일드볼트를 넣지 않고 더시마사리로 메타몽을 대책한다"는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.(출처: https://kouha1020.hatenablog.com/entry/2021/09/01/110840))마침 찾은 파티가 시리즈9에서 쓰고 싶었지만 결과를 내지 못해 아쉬웠던 더시마사리 + 랜드로스-영물 + 폴리..

[SWSH S10 최고/최종 2001, 350위] 스카프 연격 사이클 파티

파티를 짜게 된 경위구애스카프 연격 우라오스의 유턴으로 대전을 컨트롤하는 사이클 파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.우선 파치래곤을 받아낼 수 있는 포켓몬이 필요했기에 만마드를 투입했습니다.누리레느를 받아낼 수 있는 포켓몬도 필요했기에 해피너스를 투입했습니다.다이맥스 에이스로는 연격 우라오스에 강한 음번을 채용하였습니다.만마드 + 해피너스가 받아낼 수 없는 마릴리 등을 받아낼 뽀록나를 투입했습니다.마지막 자리에는 느린 쌓기 포켓몬들과 막이 사이클을 잘 상대하는 알로라 나인테일을 채용했습니다.상세 소개우라오스-연격 @ 구애스카프명랑 / 보이지않는주먹개체값: 31 - 31 - 31 - 31 - 31 - 31노력치: 0 - 252 - 0 - 0 - 12 - 244인파이트수류연타유턴잠자기거다이맥스 아닌 일반 개체명랑 스카..

[SWSH S8 최고/최종 2013, 300위] 선제 다이맥스 순풍 파티

파티를 짜게 된 경위드래펄트를 제외한 환경의 주요 포켓몬과 치고받아 이길 수 있는 파치래곤이 다이맥스 포켓몬으로 적합하다고 생각, 파티의 중심으로 정했습니다. 형태는 하마돈의 하품을 받아도 싸울 수 있도록 리샘열매로 했습니다.파치래곤이 선제 다이맥스를 했을 때, 상대의 후속 다이맥스를 막아낼 수 있는 포켓몬이 필요합니다. 그 역할에 알맞은 조합으로 순풍을 채용한 먹다남은음식 엘풍과 구애머리띠 불비달마-G를 채용하여 기본 선출을 확보했습니다.파치래곤을 위협하는 드래펄트를 억제할 포켓몬이 필요하기 때문에 폴리곤2를 채용했습니다. 파치래곤을 낼 수 없을 때 제2의 다이맥스 에이스로 사용하고 싶었으므로 포케솔에 소개된 A0님의 쌍두 형태를 채택했습니다.엘풍 불비달마 전개를 할 수 없을 때 사용할 포켓몬으로 카운..

[백준] 28217 (두 정삼각형)

문제 요약i번째 줄에 i개의 수(0 또는 1)를 배치한 정삼각형 A, B가 주어집니다. i의 최댓값은 N으로 주어집니다. N은 10 이하입니다.A를 원하는 만큼 회전 및 대칭시킬 수 있을 때, B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수의 값이 다른 위치의 개수의 최솟값을 계산해야 합니다.해설해설에 들어가기 전에 2차원 배열에 대해 명확히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. 이 문제를 포함해 일반적으로 2차원 배열을 입력받을 때 다음과 같이 구현합니다.for (int i = 0; i > A[i][j]; }}그런데 입력은 다음과 같이 들어옵니다.A[0][0]A[1][0] A[1][1]A[2][0] A[2][1] A[2][2]따라서 A[i][j]에서 '아래쪽으로 한 칸' 이동하면 A[i + 1][j]이고, '오른쪽으로 한 칸' ..

[백준] 17374 (비트베리)

문제 요약당신은 4종류의 암호화폐 비트, 베리, 코인, 비트코인을 충분히 많이 가지고 있는 친구에게서 아래 다섯 가지 교환을 원하는 만큼 진행할 수 있습니다.비트 A개 → 코인 B개 획득코인 B개 → 비트 A개 획득베리 C개 → 코인 D개 획득코인 D개 → 베리 C개 획득비트 1개 + 코인 1개 → 비트코인 1개 획득정수 A, B, C, D의 값은 테스트 케이스마다 다르게 주어집니다. 현재 당신이 P개의 비트와 Q개의 베리를 보유하고 있을 때, 당신이 가질 수 있는 비트코인의 최대 개수를 구해야 합니다. (정수 P와 Q의 범위는 1만까지입니다)해설먼저, 비트코인을 만드는 과정에 베리는 관계가 없으므로 모든 베리를 코인으로 바꾸고 시작해도 손해가 없습니다. 베리를 코인으로 다 바꾼 뒤에 Q'개의 코인을 보..

[백준] 1011 (Fly me to the Alpha Centauri)

문제 요약공간이동 장치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:이전 작동 시기에 k광년을 이동했을 때, 다음 작동 시기에서는 k-1, k, 또는 k+1광년만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.처음 작동할 경우에는 1광년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.도착 지점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의 이동 거리는 반드시 1광년이어야 합니다.x 지점에서 정확히 y 지점으로 최소한의 작동 횟수로 이동하려 할 때, 작동 횟수의 최솟값을 계산해야 합니다. (이때, x는 항상 y보다 작습니다.)해설공간이동 장치의 전체 이동 과정에서, 한 번의 작동에 최대 M광년을 이동했다고 합시다. 그러면 M광년을 이동하기 이전에 1, 2, ..., M-1광년을 이동한 적이 있어야 하며, 이동한 후에도 M-1, M-2, ..., 1광년을 이동한 적이 있어야 하므로..

[백준] 5525 (IOIOI)

문제 요약N+1개의 I와 N개의 O로 이루어져 있으며 I, O가 교대로 나오는 문자열을 $P_N$이라고 합시다.I, O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S 안에 $P_N$이 몇 군데 포함되어 있는지 구해야 합니다.N, M의 범위는 100만까지입니다.해설I, O로만 이루어진 긴 문자열(haystack)에서 특정한 문자열(needle)의 매칭 횟수를 선형 시간에 계산해야 하는 문제입니다. 그러한 문제를 일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여러 알고리즘이 있지만, 그것들을 몰라도 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.문자열을 왼쪽부터 순회하면서 첫 번째로 매칭되는 $P_N$을 찾습니다. 그 다음으로 매칭되는 $P_N$에는 첫 번째로 매칭된 $P_N$과 겹치는 부분이 있을 수도 있는데, 그렇다면 앞으로 다시 돌아가..

[백준] 31430 (A+B - 투 스텝)

문제 요약이 문제는 투 스텝 문제로, 한 번 채점할 때 프로그램을 2번 실행하는 형식입니다. 두 번의 실행은 서로 독립적입니다.첫 번째 실행에서는 음 아닌 정수 A, B가 주어지며, 소문자 알파벳으로 구성된 길이가 13인 문자열을 출력해야 합니다.두 번째 실행에서는 첫 번째 실행에서 출력한 문자열만 주어지며, A+B의 값을 출력해야 합니다.해설소문자 알파벳으로 구성된 길이가 13인 문자열만으로 두 정수의 합을 나타내야 하므로, 결국 문자열과 숫자를 서로 변환하는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.소문자 알파벳은 26가지밖에 없는데, 13개를 쓴다면 $2\times 10^{18}$보다 작거나 같은 음 아닌 정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을까요? 다행히 $26^{13}$은 2,481,152,873,203,736,..

[백준] 1193 (분수찾기)

문제 요약무한히 큰 2차원 배열에 다음과 같이 분수들이 적혀 있습니다.1/11/21/31/41/5...2/12/22/32/43/13/23/34/14/25/1...이와 같이 나열된 분수들을 1/1 → 1/2 → 2/1 → 3/1 → 2/2 → … 과 같이 지그재그 순서로 차례대로 1번, 2번, 3번, 4번, 5번, … 분수라고 합시다. 정수 X가 주어졌을 때, X번 분수를 계산해야 합니다.X의 범위는 100만까지입니다.해설X번 분수가 D번째 대각선에 있다고 해 봅시다. 두 가지 관찰을 할 수 있습니다:D번째 대각선에는 D개의 분수가 있습니다. 따라서 D번째 대각선의 마지막 번호는 정확히 $\frac{D(D+1)}{2}$가 됩니다.D의 값을 알고 있다면, D의 홀짝성에 따라 분자/분모의 증가 방향이 달라지므..

[백준] 2869 (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)

문제 요약낮에 A미터 올라갈 수 있지만, 밤에 B미터 미끄러져 내려가는 달팽이가 있습니다. V미터 높이를 올라가야 하는데 정상에 올라간 후에는 미끄러지지 않는다고 할 때, 정상에 오를 때까지 며칠이 걸리는지 계산해야 합니다.해설달팽이가 d일 만에 정상에 오른다고 해 봅시다. 그러면 d-1번의 밤을 겪었고, 그 동안의 누적된 높이는 $(d-1)(A-B)$가 될 것입니다.마지막 날 낮에는 거기서 A만큼 추가로 올라가며, 정상에 도달해서 미끄러지지 않습니다. 따라서 최종 높이는 $(d-1)(A-B)+A$가 되고, 이것이 V 이상이면 됩니다. 즉, $(d-1)(A-B)+A\ge V$찾아낸 부등식을 d에 대해 풀면:$d(A-B)\ge (V-B)$여기서 d는 자연수이므로 $d=\lceil\frac{V-B}{A-B}..